김동수 교수
김동수 교수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이 의료현장을 떠난 지도 한 달이 넘었다. 의과대학 교수들의 이탈도 가시화 되고 있어 걱정이 태산이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절반에 해당하는 20개 의대 교수들이 오는 25일부터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사직서 제출 시기는 오는 25일 이후부터이며, 자율적으로 제출하기로 했다. 사직서를 제출하더라도 수리되기 전까지는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환자들은 극심한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수술 건수와 입원 병상 가동률이 30∼50%씩 줄었고, 암 환자 수술 등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다. 의대 교수들까지 사직에 동조하면 외래 진료까지 차질을 빚게 될 공산이 크다. 의대 교수들은 중증 환자들이 마지막으로 찾게 되는 의사라는 점에서 특히 우려스럽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중증 암 환자들은 매일 피가 마르는 고통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교수들은 정부가 협상에 나서지 않거나 전공의에 대한 행정·사법 처벌이 진행되면 “제자들 보호”를 위해 의료현장을 떠나겠다고 한다. 결코, 쉽게 결정할 일만은 아니다. 교수들의 제자 사랑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제자 위한다고 국민 생명을 멸시하는 태도는 분노를 느끼게 한다. 생명보다 귀한 것은 없다. 환자 생명을 지키는 일은 제자를 지키는 일과는 비교할 수 없이 중대한 일이자 의사들의 기본 책무이다. 의대 교수들이 실제로 환자 곁을 떠나면 의사와 스승으로서 책무를 둘 다 저버리는 행태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의료사태를 해결하지 못하고, 정부와 의대 교수들 간에 강대강 대치가 지속 되면, 교수 자신의 황폐함은 물론, 의대생 유급, 전공의 행정처분 명령, 대형병원 줄도산 파산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대한민국 의료계가 완전히 무너질 수 있다. 국가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젓은 자명한 명제이다. 또한, 환자들이 겪어야 할 고통은 헤아릴 수 없다.

의과대 교수들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전공의들이 조건 없이 현장에 복귀한 뒤 정부와 협의해 실효성 있는 필수의료 정책을 수립하도록 설득하는 것이고,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길이다.

교수들의 집단사직 예고에도 정부는 여전히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문제다. 사직서를 제출한다는 것은 아마 정부가 좀 더 전향적인 자세로 대화에 임해달라 이런 요청을 한 걸로 이해가 된다. 문제의 해결은 정부와 의료계가 건강한 토론을 통해 집단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추구해야 한다. 단, 의료증원은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8만 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울 대형병원들의 의료·경영 체계도 하루가 다르게 한계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지속 가능하지 않은 비상 진료체계로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의구심을 품어볼 필요가 있다.

전공의 처우 개선이나 필수의료 수가 인상과 같은 의료계의 합리적인 주장을 펼치기 위해서는 교수들이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하루가 급하게 제자들의 복귀를 설득하고, 정부와 의료계의 중재를 맡아주길 바란다. 감정으로 사로잡혀 대립해서는 안 된다.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에 대한 위협 수준은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다. 속히 전공의들의 복귀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는 전공의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 개선되도록 의료정책을 정비해야 한다. 훌륭한 의사들이 많이 배출되어 존경받고, 국민들이 수준 높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간절히 소망해 본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