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교수
김동수 교수

  중국의 부동산발 위기와 미국의 긴축 정책 유지에 따른 고금리·강달러 현상이라는 이중 악재에 한국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2021년 헝다그룹에 이어 부동산시장 선두를 달리는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발 유동성 위기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올 상반기에만 10조 원의 손실을 내며 채권 이자를 상환하지 못한 비구이위안은 지난 16일 “채권상환 불확실성이 크다”고 상하이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는 금융권으로도 급속 확산 중이다. 국유 부동산업체 위안양이 디폴트에 빠졌고, 관리자산이 1조 위안(약 182조 원)인 금융그룹 중즈(中植)도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토지 사용권 수익으로 재정을 충당해온 지방정부의 재정 건전성 악화와 은행 부실로 휘청대고 있다. 중국 정부는 112조 원을 풀었지만, 이로 인해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7.30위안으로 급락하는 악순환이 일어났다.

미국 경제는 중국과 반대로 과열이 문제다. 각종 지표 호조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추가 긴축을 시사한바 장기 채권 금리가 4.25%로 15년 래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달러 가치가 급등했다. 한국은 중국 부동산 위기와 미국 고금리의 겹악재에 짓눌리고 있다. 당장 원·달러 환율부터 1,343원대로 치솟았다. 원화 가치는 한 달 새 80원 가까이 급락했고, 이는 외국인의 한국 주식 대량 매도로 이어졌다.

최근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를 매각하고 그 달러화로 위안화 환율 방어에 나서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미 국채 금리 상승과 ‘킹(King)달러’를 부르는 구조적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중국의 고성장 시대는 끝났다는 비관론이 잇따르고, 오죽하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은 똑딱거리는 시한폭탄”이라고까지 우려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특성상 주요 2개국(G2) 경제의 급변은 우리 실물 및 외환시장에 커다란 후폭풍을 가져온다. 당장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업황이 악화되면 중국 내수시장 및 제조업이 침체되고 결국 한국의 소비재 및 중간재 수출에 직격탄이 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16일 “한국 경제의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에 대한 정부의 전망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는커녕 차이나 리스크가 몰려오는데도 당국의 상황 인식과 대응 태도가 지나치게 안이하다는 생각이다.

당장 대체 시장을 찾기는 어렵지만, 과도한 중국 의존은 한국 경제가 풀어야 할 난제이다. 기업들의 신속한 움직임을 눈여겨봐야 한다. 삼성전자는 해외 생산 거점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전한 지 오래고, 현대차는 발 빠른 해외 전략으로 인도에서 탄탄한 시장 지위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도 이제 상저하저(上低下低)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자칫 1%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와 G2 국에서 몰려오는 먹구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특히, 수출시장을 동남아‧인도‧중동‧유럽‧북미 등으로 다변화하는 노력에 이어 먹거리 발굴 등 중장기적으로 철저한 대비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