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군 교수
전성군 교수

  우리농업인 대부분이 쌀농사를 짓는다. 쌀농사는 우리나라 농업의 가장 대표적인 농작물이다. 못 먹던 시절에는 굶주림에서 해방되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러나 80년대에 이르러 고도의 경제성장과 급격한 산업신장에 따라 국민의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이 변하게 되었다. 특히 쌀의 자급자족으로 우리의 식생활이 풍요롭게 되고,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대식 식단이 등장하면서 쌀밥이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먹고 살만하면 민주화 욕구가 커진다고 했던가. 오늘날처럼 자신의 건강과 친환경기반에 관심이 높은 때는 없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우리의 주식인 쌀은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한번 따져보자.

일반적으로 식생활은 민족, 인종에 따라서 인체의 생리작용이 상이하다. 하지만 한국인은 옛날부터 오랫동안 쌀밥을 먹어왔다. 그 결과 쌀밥을 먹는 식습관에 길들여져 있고 소화흡수도 잘된다. 특히 치아의 형태나 장의 길이, 소화액의 분비, 장내세균을 위시해서 우리의 신체는 쌀밥에 알맞게 적응되어있다. 그런데도 신세대들은 아는지 모르는지 쌀밥보다 빵을 많이 찾는다. 필자는 강의 중에 간혹 쌀밥이 좋은지, 빵이 좋은지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지금부터 그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자.

빵 · 커피, 쌀밥 · 생선구이보다 영양성 떨어져

쌀밥은 기본적으로 쌀의 기호성, 경제성, 생산성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반면, 빵은 쌀에 비해 비타민 B1이 더 많으며 경제적으로 선진화된 구미 여러 나라에서 먹고 있는 것이므로 좋은 것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도 더러 있다.

문제는 우리가 먹는 식사가 쌀밥만 또는 빵만 먹는 것이 아니므로 쌀밥과 빵의 영양학적 가치의 우열을 논할 수만은 없다. 중요한건 쌀밥과 같이 먹는 반찬이 무엇인가, 그리고 빵과 같이 곁 드린 식품을 모두 합한 전체의 식사가 좋고 나쁜 것을 비교해야 한다. 즉 우리들의 식사의 우열을 지배하는 것은 주식과 부식의 질과 양의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빵과 버터, 빵과 커피는 쌀밥과 생선구이, 김치를 곁 드린 식사보다 떨어진다. 또한 쌀밥과 김치, 쌀밥과 된장국은 빵과 스프, 우유, 샐러드로 된 식사보다 떨어지게 된다. 쌀밥이든 빵이든 이들 식품과 곁 드리는 부식에 의해서 그 영양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처럼 맛의 배합이라는 점에서 빵과 된장국보다는 빵과 크림스프가 적합하다.

서양식사 동물성 단백질 지방 많아

특히 보존식품을 주축으로 한 서구 식사의 간편성 때문에 아침식사에 빵이 일찍이 보급되었다. 하지만 서양식사는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 등의 공급이 많다. 이에 비해 쌀밥은 맛이 산뜻하므로 부식도 기름지지 않고 향기가 있다. 쌀밥의 가장 큰 장점은 빵보다 훨씬 많은 여러 가지 종류의 부식을 같이 먹게 되어 영양의 밸런스를 알맞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쌀밥은 건강에 특히 좋다.

쌀농사를 지으면서 안정적인 식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정착생활을 하면서 독특한 농경문화를 형성할 수 있었다. 쌀과 인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생명줄로 연결되어 있다. 유목생활이나 쌀농사를 지을 수 없는 기후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고기나 밀과 같은 식품을 주식으로 삼고 있다. 물론 문명의 발달로 인한 식품이 다양화 되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들이 많다. 지금은 육류를 비롯하여 가공식품들을 선호하여 쌀 소비량이 엄청나게 줄긴 했지만 남달리 우리나라는 쌀에 의한 희로애락의 정서가 깊게 새겨져 있다. 우리 몸에는 우리 것이라고 수천년 세월 동안 우리강산에서 생산된 산물이 우리 체질을 만들어 왔고 가장 적합하다.

‘쌀을 식량으로 하는 민족은 번영한다. 단위면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칼로리는 최대가 된다.’ 라고 말한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의 말을 되새겨보면 쌀밥과 빵의 건강게임의 승자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