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보이는 우리 가정의 모습이 격차가 심하게 되어있다. 내년이면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상위계층시대에 접어든다.

가구 형태가 지금까지는 전형적인 ‘부부+자녀', 그 다음이 '부부'로 나누어지는데 우리가 외면한 '한부모' 가정도 소홀할수 없다는 것이다.

가구 분화 속도는 갈수록 높아진다. 가구 규모와 유형을 보면 전체 시도에서 1인 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부와 자녀가 사는 가정에 한부모 가정이 사회에서 냉전하게 대우를 받으며 산다는 이유이다.

1인 가구의 확산은 이제 대세가 됐다. 이미 경제와 산업계의 지형에 1인 가구가 시작했다.

경기 침체로 인해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어려움을 겪고 독신들이 살기에 벅차다.

실제 편의점이나  간편식 등 단순 먹거리 외에도 세탁과 택배 등 생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많은 경제적인 어려움이 많다.

1인 가구 시대에 외로움을 함께 할 여건이 있으면 덜한데 모두가 먹고살기에 한부모는 아이들을 제대로 챙기지도 못하고 오직 생계에만 전념하고 있다.

한 예로 지인에게 들은바, 아버지와 같이 사는 고 2학생이 있는데 아버지는 일찍 출근해 학생은 스스로 일어나기는 하나 누가 깨워주고 돌봐주지 못해 정상적인 학교생활도 못하고 아버지의 늦은 퇴근으로 인해 하루종일 공부는 둿전이고 컴퓨터에 빠져 새벽을 세우다가 학교를 가도 수업시간에 잠만 자고 점심은 먹지못하고 나중에는 학교에 적응을 못해 잦은 결석으로 인해 고민을 하는 아버지가 지인에게 들려준 애기이다.

그래서 말로만 복지정책이 아니고 경험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싶다.

이제는 문재인 정부도 1인 가구와 관련해 여러 공약을 내놓았지만 아직은 단편적이고 개별 사안에 대한 임시처방 정도이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는 정부 차원에서 한부모 가정에 절대적인 지원을 한 뒤 모든 세금을 면제해주는 등 어려운 한부모 가구에 도움을 준다고 들었다. 적극 권장할만한 일이라 본다.

한부모 가정은 주거배경에서 정부 지원정책 또한 세심하게 이뤄져야 비로소 실효를 거둘 수 있다.

물론 한부모 가정을 위해 아파트 영구임대를 하지만 그래도 갈수록 초고령화 사회에서 한부모 가구에 적합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비로소 정교한 맞춤형 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늘어만 가는 한부모 가정에 맞게 중장기 종합대책은 물론 지역별로 섬세한 대책을 세워 한부모 가구별 맞춤형 계획을 만들어야 할 시점이다. 

엔디엔뉴스 취재부 김병철 팀장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