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와 장비의 폭발적인 보급과 글로벌 연비규제 강화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생산경쟁 등 각종 미래 산업 관련 산업에서 경쟁력 우위를 가름하는 것은 배터리(전지)라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초소형, 초박형, 플렉시블 배터리뿐만 아니라 중·대형 배터리(전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완성 배터리 업체들의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나, 소재 및 재료업체들의 경쟁력은 미흡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전지 제조기술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소재 및 핵심기술은 선진국 대비 40~50% 수준으로 전해액과 양극재를 제외하고는 소재의 국산화율은 30%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며, 특히 일본 업체와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와 최근 대륙의 내수기반을 확고히 하고 이차전지, 전기차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 산업에 거침없는 공세를 취하고 있는 중국의 견제를 위해서라도 소재 및 재료 분야의 국산화와 핵심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기에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 www.kiei.com)는 배터리(전지) 관련 大 세미나 ‘미래형 배터리 및 핵심소재, 재료 최신 기술개발과 시장분석 세미나’를 개최한다.

9월 16일(수)부터 17일(목) 이틀에 걸쳐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관련 미래형 배터리와 관련 핵심소재에 대한 국내외 기술개발의 현주소 및 사업모델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국내외 관련업계의 동향을 집중적으로 조명함과 아울러 향후 시장요구와 기업의 기술개발 등 전반적인 정보와 방향을 관련 국내 17명의 최고 전문가가 이틀 동안 제시한다.

금번 세미나에서는 미래형 배터리와 관련 신소재의 전반적인 산업실태를 짚어보고 웨어러블, 플렉시블 배터리와 중·대형 배터리의 기술 및 시장동향을 비롯하여 충격에 매우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특성 및 실태뿐만 아니라 미래형 배터리의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 전극 등의 신소재 동향과 제조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시장동향 등의 제반정보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제시한다.

주요 발표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날은 HMC투자증권 노근창 이사의 ‘미래형 배터리 및 관련 신소재 산업실태와 국내·외 시장규모 / 참여 기업체 현황’, 한양대학교 신동욱 교수 ‘중대형 전고체 배터리 제조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KAIST 최장욱 교수 ‘웨어러블 / 플렉시블용 배터리 플레이어별 제조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가천대학교 윤영수 교수 ‘초소형, 초박형 배터리 제조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한국전기연구원 이상민 박사 ‘나트륨 기반 배터리 제조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용주 교수 ‘고용량, 저가격의 중대형 리튬-설퍼(유황) 배터리 제조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특허청 박상호 사무관 ‘웨어러블 / 플렉시블용 배터리 국내, 외 기술별 특허분석과 국내업계의 IP 대응전략’ 등의 발표가 있다.

둘째 날은 중앙대학교 윤성훈 교수 ‘고용량, 고성능, 고안전성을 위한 전극 소재 / 재료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GS에너지 안동준 책임연구원 ‘Si-based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y Applications’, 충남대학교 김성수 교수 ‘고용량 저가격 실리콘 합금 음극소재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가속기연구소 안도천 박사 ‘고출력, 고용량, 고수명을 위한 리튬망간인산화물 양극소재 신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엔켐 오정강 대표 ‘장수명, 고용량, 고안전성을 위한 전해액 / 첨가제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전자부품연구원 김기재 박사 ‘고용량, 고성능, 고안전성을 위한 분리막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 포항공과대학교 강병우 교수 ‘저가 공정을 이용한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용 게르마늄 산화물 음극소재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KIST 최원창 박사 ‘친환경, 고에너지 밀도를 위한 양극소재 기술개발 및 상용화 동향과 적용사례’를 발표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www.kiei.com 또는 전화 (02)2025-1333 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