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중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의 자본비율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년부터 인터넷은행의 관련 규제가 강화될 예정이라 케이뱅크는 급속히 자본을 확충해야 할 필요성에 쫓기는 모습이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 비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10.62%로 석 달 전인 지난 3월 말보다 1.86%포인트 급락했다. 19개 국내은행 중 최저치다.

 

총자본 비율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 가중치를 곱한 자산으로 나눈 값의 비율이다. 은행이 보유한 가계·기업 대출 등 자산에 손실이 나면 자기자본이 이를 보전하는 완충 장치 역할을 하는 만큼 총자본 비율이 낮을수록 은행의 위기 대응 능력이 약하다는 의미다.

 

케이뱅크의 총자본 비율은 지난해 말 16.53%에서 올해 3월 말 12.48%, 6월 말 10.62%로 급락하고 있다. 대출 자산이 늘었지만 자본 확충을 제때 하지 못해서다.

 

케이뱅크는 대주주인 KT(지분율 10%)가 담합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며 자본금을 늘리는 증자에 발목이 잡힌 상태다. 현행법상 은행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려면 공정거래법 등을 위반해 형사처벌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하나 KT가 담합 혐의로 직접 증자에 나서기 어렵게 된 것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8월 276억원 규모 증자로 자본금을 5051억원까지 간신히 늘렸다. 그러나 당초 계획했던 KT 중심의 5900억원 증자 계획에는 크게 못 미친다.

 

케이뱅크의 다른 주주사인 우리은행, NH투자증권, DGB금융그룹 등도 대규모 증자 방안을 놓고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올해 초부터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 등 주력 대출 상품의 판매도 중단한 상태다.

 

문제는 현재로선 케이뱅크의 자본 비율이 계속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기존 대출이 연체되는 등 은행의 손실이 발생하면 순이익과 자본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내년부터는 인터넷 은행의 자본 규제도 강화된다. 현재 일반 은행은 BIS 기준 총자본 비율을 최소 10.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제주은행 등은 국내 금융 시스템상 중요한 은행으로 간주해 11.5%를 넘어야 한다.

 

다만 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인터넷 은행의 경우 올해까지는 총자본 비율이 8%만 넘으면 됐다.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자본 규제를 완화한 것이다.

 

하지만 내년부터 이 같은 자본 규제 특례가 끝나면 케이뱅크도 총자본 비율이 10.5%를 넘어야 한다. 만약 이 비율이 이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금융 당국이 규제에 나서게 된다.

 

곽범준 금감원 은행감독국 팀장은 “국내 은행과 은행 지주사의 총자본 비율은 규제 비율을 크게 웃도는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자본 여력이 규제 수준보다 충분하지 않은 인터넷 은행과 신설 지주사 등의 자본 적정성 관리를 강화하고 자본 확충을 지속해서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