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이 드디어 정부의 영향력을 완전히 벗어나게 됐다.

 

정부가 2022년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 약 18%를 전량 매각하기로 하면서 완전민영화를 달성하게 된 것이다.

 

우리금융의 완전민영화로 정부는 공적자금을 전액 회수하고 우리금융은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우리금융 지분 18.3%를 보유한 예금보험공사는 이르면 내년 2분기(4~6월) 중 지분 매각 절차를 개시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1년에 보유 지분 최대 10%씩을 2~3회에 걸쳐 나눠 파는 분할 매각 방식으로 3년 내 지분을 전부 정리하기로 한 것이다.

 

매각 대상은 주로 IMM 프라이빗에쿼티,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동양생명, 한화생명,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기존 우리금융 주주사가 될 전망이다. 외국계 금융사를 포함한 신규 투자자에게 팔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매각 방식은 희망 수량 경쟁 입찰을 택했다. 정부가 제시한 최저 매각가격보다 높은 금액을 써낸 입찰자 중 가격이 높은 순서대로 희망 가격과 물량만큼을 나눠주겠다는 것이다.

 

입찰 과정에서 팔지 않고 남은 지분(최대 5%)은 블록 세일(주식시장 개장 전 시간 외 대량 매매) 방식으로 처분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지분 최대 10%를 입찰에 부쳐 그 중 2%만 매각될 경우 블록 세일로는 5%만 처분하고 남은 3%를 이듬해 매각분으로 넘기겠다는 얘기다. 이 같은 방법으로 2022년까지 3년 내에 우리금융 지분 전량을 처분하겠다는 것이 금융당국 목표다.

 

이세훈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관은 “과거 회사 주가에 연연하다가 매각 시기를 놓치는 등 매각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금융위기가 오거나 특별히 시장 상황이 안 좋은 게 아니라면 발표한 일정에 맞춰 지분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우리은행의 전신인 옛 한빛은행, 평화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하나로종금 등 부실 금융사를 구조조정하며 지난 1998년부터 2006년 사이 투입한 공적 자금은 모두 12조8000억원이다. 이 중 2002년부터 현재까지 주식 매각을 통해 회수한 금액은 11조1000억원(87%)이다.

 

금융당국은 향후 지분 처분 시점에 우리금융지주의 주가가 주당 1만3800원 수준만 돼도 1조7000억원을 추가 회수해 원금을 모두 보전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25일 종가 기준 주당 1만3950원으로 정부가 제시한 원금 회복의 마지노선을 소폭 웃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완전민영화 계획에 시장은 환영 의사를 표하고 있다”며 “앞으로 우리금융 주가가 크게 올라 공적자금 회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완전민영화로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우리금융은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우리금융은 지주사 전환 후 자산운용사, 신탁사, 카드사 등 비은행 계열사 인수에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