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서 세균이 검출돼 판매 중단 조치를 받은 대상 청정원의 통조림 햄 '런천미트'에서 발견된 세균이 비병원성 대장균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온 멸균 과정을 거치는 통조림에서 열에 약한 대장균이 검출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커다란 파장이 일고 있다.

 

제조 과정이 아닌 유통이나 식약처 공인검사기관(충청남도 동물위생시험소) 실험(조사) 과정 중 오염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 때문이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런천미트에서 검출된 세균은 병원성 출혈성 식중독균이 아니고 일반 대장균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런천미트의 세균검출 논란'이 정반대의 결과로 귀결될 수 있는 반전의 양상을 띠고 있다. 통조림 햄에서 제조과정 상 대장균이 검출될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는 "처음 런천미트 세균 검출 사실을 들었을 때 당연히 섭씨 100도에서도 죽지 않는 바실러스나 클로스트리듐속 등 포자를 형성하는 내열성 균일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70도만 돼도 사멸하고 생고기나 분변 등에서 발견되는 대장균이 검출됐다는 식약처장의 발언이 의아했다"고 지적했다.

 

통조림 햄 제품은 상온에서 보관하는 특성상 철저한 멸균 과정을 거치며 런천미트 제품의 경우에도 116도에서 40분 이상 멸균처리를 거친다. 즉, 일반적으로 통조림 햄에서 대장균이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대상 측에서는 식약처 조사 결과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제품 제조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면 시험 대상제품 외에 이미 2년여 간 판매된 다른 제품들에서도 대장균이 검출됐어야 한다는 것이 대상의 주장이다.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도 "이 사안에 대해서는 4가지 사실을 정확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제품이 아예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고 유통된 것인가 ▲제조과정 중 살균조건이 기준에 맞지 않았는가 ▲유통과정 중 제품을 떨어뜨리거나 밀봉부분이 균열됐을 가능성이 있는가 ▲세균배양검사가 정당하게 이뤄졌는가 등을 기준으로 제시했다.

 

신 교수는 "공장 직원 실수로 제품이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고 유통된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그랬을 경우 제조일로부터 2년이 지난 지금까지 품질 논란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며 살균 과정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했다.

 

이어 "세균배양검사의 경우 굉장히 예민한 무균 상태로 이뤄져야 한다"며 "미생물 실험 자격을 충분히 갖춘 전문가에 의해 시행됐는지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조사 과정의 실수 가능성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