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물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비중 높아…서민의 시름과 걱정 덜어주는 정책 마련 시급

우리네 물가는 진정으로 서민을 위하는 대책인지 사뭇 의문스럽다. 보통 지하철·버스,·택시·수도·가스·전기 등의 공공요금이나 각종 생활 서비스 요금은 보통이고, 우리에게 필요한 식비와 의류.자재비 등 생필품비의 경우는 상당히 비싸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물가의 저렴함은 관련 운영주체들이 줄곧 만성 적자를 위해 유상판매 정책 같은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전기·가스·수도에 붙는 세금 역시 산업 전체를 굴리는 기간 에너지로 보아 자신들 마음대로 정책을 만들어 공급하는 이유이다.

이에 비해 공공요금과는 달리 衣食住 형태의 사는 것과 관련해서는 상당히 물가 수준을 높게 하여 서민들의 어려운 경제사정을 무시하는 결과로 치부하는 과정이다.

이처럼 먹거리의 높은 물가 탓으로 인해 가계 부담에 걸리는 인플레이션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상외로 크다.

다른 분야들과 비교하여 부동산을 포함한 유독 식품의 물가상승폭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걸 알 수 있다.

하지만, 물가는 단순히 원자재 가격과 그걸 가공하는 비용, 인건비가 아니라, 이를 소비하는 내수경제의 규모와 국가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공식이라 보면 된다.

적어도 먹거리를 향한 물가는 원재료가 되는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축산업의 구조적인 한계도 크다는 걸 인식해야하며 우선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상승세이다.

우리나라처럼 좁은 영토에 상대적으로 많은 농업인구에 아직도 규모가 작은 소규모 영세농의 비중이 있고, 이에 따라 농업생산성도 떨어지는 편이라 서민들의 생필품 물가가 올라가고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산에서도 어획량이 줄면서 오징어와 갈치·멸치 가격이 비싸고 본격적인 나들이 철을 맞아 삼겹살이나 갈비가격도 오른셈이다.

여기에 정부가 물가를 잡겠다고 선언을 했으나 아직까지는 말뿐이다.

정부는 각종 채소류와 축산물 및 가공식품 등의 수급동향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서민에 맞게 물가를 조정해야한다.

누구말대로 있는 집안은 고기종류를 매일 먹는데 비해 없는 집안은 매일 나물종류를 먹듯이 하루바삐 새로운 정부는 오직 서민을 위한 가격인상의 원인을 파악해 안정된 배고픔이 없는 서민적인 물가로 서민들의 시름과 걱정을 한시름 덜어주는 정책을 만들었으면 하는 기자의 바램이다.

 엔디엔뉴스 취재부 김병철 팀장

 

 

저작권자 © 엔디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